고전적 조건 형성이론은 특정한 자극에 따라 생기는 반응을 그와 다른 성질의 자극으로도 똑같이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학습 이론으로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가 주장했다. 이반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 이와 관련하여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특정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던 자극이 그 반응을 무조건 끌어내는 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되면서 그 반응을 유발하게끔 하는 과정을 말한다.
* 생체가 원래 가지고 있는 반응을 '무조건 반응'이라고 한다.
ex) 개가 침을 흘린다.
*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무조건 자극'이라고 한다.
ex) 개에게 음식을 준다 -> 침을 흘린다.
*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자극을 '중성 자극'이라고 한다.
ex) 종소리를 들려준다. (학습 전) -> 개가 귀를 기울인다. (침을 흘리지 않는다)
* 중성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반응을 '비상관 반응'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개가 귀를 기울인다.
ex) 개가 귀를 기울인다.
중성 자극 직후에 무조건 자극을 주는 것을 반복하면 중성 자극만으로도 무조건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고전적 조건형성'이라고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에 따른 자극을 '조건 자극'이라고 하며 고전적 조건형성에 따른 반응을 '조건 반응'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고전적 조건형성이 학습된 개에게 소리를 들려주는 것은 조건 자극이며, 이 소리에 반응하여 침이 분비되는 것이 조건 반응이다.
파블로프는 조건 형성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행동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했다.
조건 형성이란 평소 특정 반응을 끌어내지 못했던 자극(중성 자극)이 무조건적인 반응(무조건반응)을 끌어내는 자극과 연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조건 형성이 이루어지면 중성 자극은 조건자극이 되어 조건반응을 끌어낸다. 이 과정을 파블로프의 조건 형성 실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조건 형성 이전: 개는 음식을 보면 무조건 침을 흘린다. 여기에서 음식은 무조건자극이 되고, 침을 흘리는 반응은 무조건반응이 된다. 또한 종소리를 들려줬을 때 개는 반응이 없다. 여기에서 종소리는 어떤 반응도 끌어내지 못하는 중성 자극이다.
* 조건 형성 과정: 개에게 음식을 줄 때마다 반복해서 종소리를 같이 들려준다. 이 과정을 무조건자극과 중성 자극의 연합, 혹은 조건 형성이라고 표현한다.
* 조건 형성 이후: 조건 형성이 된 후에는 중성 자극인 종소리만 들려주어도 침을 흘리게 된다. 여기에서 조건 형성이 된 후의 종소리는 조건자극이 되고, 조건형성이 된 후에 침을 흘리는 반사는 조건반응이 된다.
이차적 조건 형성
조건자극은 본래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는 중성 자극이었지만 조건 형성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조건자극과 같은 반응을 끌어낸다. 이렇게 조건 형성이 된 자극은 다른 중성 자극도 조건 형성을 할 수가 있는 힘이 생기는데, 예를 들어 위의 실험에서 조건 형성이 된 종소리와 함께 파란 불빛을 보여주면 파란 불빛만 봐도 침을 흘리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이차적 조건 형성이라고 하며 그 이상의 조건 형성을 삼차적, 사차적 조건 형성 등등 고차적 조건 형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삼차적 조건형성 이상은 일어나기 힘든데, 소거의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소거
소거는 조건 형성이 풀어져 조건자극이 다시 중성 자극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만약 파블로프의 개 실험에서 조건자극인 종소리만 들려주고 반복해서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개는 조건자극인 종소리를 듣고도 이제 침을 흘리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즉, 조건자극과 함께 무조건자극을 계속해서 제공하는 수반성을 제거한다면 조건반응은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소거가 되었다고 해서 조건반응 자체가 소멸하였다는 것은 아니다. 만약 소거가 일어난 개에게 종소리(조건자극)를 갑자기 주면 침을 흘리는데, 이런 과정을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자발적 회복은 학습이 영속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는데, 우리가 배운 내용을 잊어버렸다고 해서 두뇌에서 완전히 지워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계기에 의해서 문득 떠오르기도 하는 것과 같다.
자발적 회복
소거 절차가 이루어진 후에도 음식물을 수반하지 않은 채 다시 개에게 종소리만 반복적으로 들려주었을 때, 소거되었던 종소리에 침을 흘리는 반응이 재훈련 없이도 나타난다. 이를 조건반응의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이때 반응의 강도는 전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자발적 회복은 학습이란 영구히 소멸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자극일반화
자극일반화란,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동일한 조건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바로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우리 속담의 의미와 같다. 고등어구이를 먹다가 목에 가시가 걸린 적이 있는 아이가 밥을 먹을 때마다 생선을 피하려는 모습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시가 많지 않은 통조림 생선을 우연히 먹은 아이는 다시 생선을 먹을 수 있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변별이라고 한다.
변별
자극을 구분하여 반응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즉, 자극일반화는 자극 변별에 실패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미각 혐오 학습
고전적 조건형성은 여러 차례 반복이 되어야 자극 간의 연합이 이루어지지만 '가르시아 효과'라는 것이 있는데, 쥐에게 먹이를 주고 어느 정도 후에 열을 가해 메스꺼움과 구토 등을 유발했더니 그 후에도 그러한 종류의 먹이를 피한다는 것이다. 순서 반복을 통한 연합이 아니라 단 한 번의 강렬한 경험으로 바로 조건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현상을 미각 혐오 학습이라고 말한다.
'심리학과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2 (0) | 2023.06.09 |
---|---|
심리검사 (0) | 2023.06.09 |
심리학-초자아 (0) | 2023.06.06 |
심리학-인지부조화2 (0) | 2023.06.06 |
심리학-인지부조화1 (0)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