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과 정신건강

심리학-바넘 효과

반응형

바넘 효과란 "우리는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것을 보았다."라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이다. 이 효과는 점성술과 종교, 필적학, 운세 판단 그리고 성격 검사와 같은 신념과 실천의 광범위한 수용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것에 관련된 일반적인 현상은 주관적 검증에 대한 것으로, 기대나 신앙 또는 가설은 관련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관적 검증은 두 개의 무관한 사건이 서로 관계가 있다고 인식할 때 나타난다. 

 

포러의 증명

1948년, 심리학자 포러가 학생들에게 성격검사를 하나 실시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그것들은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도출된 각자에 대한 고유한 성격 분석으로, 그것들이 그들에게 얼마나 더 잘 맞는지에 대해 그들의 분석을 0점(최하점)부터 5점(최고점)까지의 점수로 매길 수 있다고 말했고 실제로 모든 학생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받았다.

검사지는 이와 같은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존경하고 좋아하기를 바라는 큰 욕구를 갖고 있다. 당신은 성격적으로 다소 결함을 가졌지만 일반적으로 그것들을 상쇄할 수 있다. 당신은 내면적으로는 불안해하며 걱정하는 경향이 있다. 당신은 때로는 외향적이고 사교적이며 친절하지만, 때로는 경계하고 내향적이며 내성적이다.'

이 문장들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문장들이 많다. 포러 효과를 실험하는 또 다른 연구에서 학생들은 MMPI 검사를 치웠고, 연구자들은 그들의 검사 결과에 대해 평가했다. 연구자들은 학생 성격의 정확한 평가들임을 명기했지만, 학생들에게는 막연한 보편성과 정확한 평가를 사용한 평가 모두가 주어졌다. 그러기 나서 학생들은 그들이 생각하기에 실제적인 평가를 뽑는 것에 응답했는데, 과반수(59%)의 학생들이 가짜 평가를 뽑았다. 

포러 효과는 "바넘 효과"로도 알려져 있다. 

 

반복 연구

이 연구의 반복에서는 두 가지 요소가 중요한데, 제공되는 내용이 특성 평가에 대한 긍정에서 부정까지의 비율로 된 강조를 수반하는 것과 피험자들에게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이 정직하고 주관적인 평가에 기반하는 의견을 그들에게 주고 있음을 신뢰하는 것이다. 문장이 막연할수록 이 효과는 더 입증된다. 사람들은 그러한 문장들의 의미가 자신에게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개인적인 것"이 된다. 가장 효과적인 문장들에는 "가끔"이라는 어구가 듬성듬성 들어가 있는데 예를 들면, "당신은 가끔 매우 자신감 있다고 느끼지만 때로는 확신이 없다." 이러한 어구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람들은 각자가 그 문장들의 의미가 자신에게 적용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문장의 애매함이 유지된다면 포러 효과의 반복 연구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가 보장될 것이다.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포러 효과가 보편적임을 나타내는 연구들이 있었다. 그것은 많은 지리적 위치나 다른 문화권들의 사람들에게서도 발견된다. 2009년에 심리학자 재니스 술과 폴 로저서는 바넘의 성격 단평을 수용하는 것에 대해  중국 사람들과 서양인들의 경향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들은 어떤 차이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것은 켈리와 딕슨의 심리학 보고서인 "문학의 재검토"에도 기술되어 있다. 성별은 피험자가 서술문에 대해 정확하다고 믿을 확률을 결정한다고 증명되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애매한 문장에 대해 정확하다고 믿는 가능성이 더 높다. 바넘의 성격 단평에서 사용된 어법도 사람들이 자신들의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바넘의 단평에 특정 개인의 이름이 포함되어 더 개인화되었다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정확성 점수를 부여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연구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이 이 효과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천궁도의 정확성을 믿는 피험자들은 막연히 일반적인 것들이 그들에게 특별히 적용된다고 믿는 경향이 더 있다.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의 다른 예로는 영혼의 영향력에 대한 믿음과 마술의 힘에 대한 믿음이 포함된다. 정신 분열 성향과 포러 효과에 대한 믿음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높은 연관성을 보여오고 있다. 그러나, 술과 로저스의 2009년의 연구는 피험자의 점성술에 대한 믿음을 고려했는데, 서양과 중국의 회의론자들은 모두 바넘 단평에 속한 애매함을 인지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함은 점성술에 대한 믿음이 없는 개인들이 그 효과에 대한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더 큼을 시사한다.

자기 고양적 편향

자기 고양적 편향이 포러 효과를 상쇄한다고 보고되어 왔는데, 자기 고양적 편향에 따르면, 피험자들은 그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수용하는 반면, 부정적인 태도는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한 연구에서, 피험자들에게 세 개의 보고서 가운데 하나가 주어졌다. 하나는 완전히 부정적인 특징들이 포함된 단평이었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격적 특징들이 기술된 바넘 단평이었으며, 마지막 하나는 앞의 두 가지가 혼합되어 있었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과 혼합된 것을 받은 피험자들은 부정적인 것을 받은 피험자들보다 그것들의 평가에 동의하는 경향이 훨씬 더 높았다. 또 다른 연구에서 피험자들은 일반적인 "가짜" 성격 평가 대신에 특징이 열거된 한 목록을 받았는데, 피험자들은 그 특징들이 그들에게 얼마나 더 잘 맞는지 여겨지는 정도를 점수로 매겼다. 자기 고양적 편향과 마찬가지로 대다수의 피험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특징에 동의했고, 부정적인 특징은 부인했다. 그 연구는 자기 고양적 편향이 포러 효과를 상쇄할 만큼 충분히 강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