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과 정신건강

심리학-스탠퍼드 감옥 실험(루시퍼 이펙트)1

반응형

스탠퍼드 감옥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 또는 루시퍼 효과 또는 루시퍼 이팩트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필립 짐바르도 심리학 교수가 1971년에 한 심리학 실험으로, 70명의 지원자 중 대학생 24명이 선발되어 교도관과 죄수역을 맡았으며, 스탠퍼드 대학교 심리학과 건물 지하에 있는 가짜 감옥에서 진행했다. 역할은 무작위로 정해졌으며, 그들은 자신의 역할에 예상보다 잘 적응했고, 교도관들은 권위적으로 행동했으며 심지어는 가혹 행위를 하기도 했다. 2명의 죄수는 초기에 너무 화가 나서 중간에 나갔으며, 모든 실험은 실험 시작 6일 만에 갑작스럽게 종료됐다. 실험의 진행 상황과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있고, 촬영된 실험 장면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그로부터 30년 후 아부 그라이브 수용소 이라크 포로 학대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이 실험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기도 하였다.

 

목표와 과정

짐바르도 팀은 교도관과 수감자 각각의 특징이 감옥의 어려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라는 생각을 시험해보기 위해 실험을 시작했다. 참가자들은 2주간 '감옥'에서 생활할 것이라는 설명을 들었으며, 그 대가로 15달러의 일당을 받기로 했다. 70명의 지원자 중, 짐바르도는 심리적으로 안정적이고, 정신 및 육체의 장애가 없으며, 과거 약물 남용이나 범죄 이력이 없는 남자 24명을 선발했는데, 24명은 모두 캐나다나 미국의, 중산층 가정 출신의 좋은 교육을 받은 남자 대학생들이었다.

'감옥'은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과 건물인 조던 홀의 지하실에 위치했고, 대학생인 실험 도우미들은 수감자였으며, 짐바르도는 교도소 감독관이었다. 짐바르도는 참가자들이 그가 원했던 자아감 상실, 몰개성화, 방향 감각 상실과 같은 것을 촉진할 수 있도록 특별한 상황을 마련했다. 최초의 실험에서 교도관 9명, 죄수 9명만이 참가하였는데 나머지 인원은 혹시나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 투입하기 위해 대기하였다. 이는 감옥의 크기가 24명을 동시에 실험하기에는 협소하였기 때문이었다. 죄수들은 3개의 감방에 각각 3명씩 수용되었으며, 교도관은 3명씩 3조로 나뉘어 하루 8시간씩 3교대 하였다. 실험 참가자 중 교도관 역을 맡은 사람들은 무기(곤봉), 바지 및 셔츠가 카키색인 가짜 교도관 옷을 받았고, 눈을 마주칠 수 없게 하기 위해 선글라스도 받았다. 수감자들은 그들이 끊임없이 불편하도록 크기가 맞지 않는 겉옷을 입히고, 머리에는 스타킹을 씌웠다. 교도관들은 수감자의 이름 대신에 옷에 박힌 그들의 고유 번호를 불렀다. 교도관을 맡은 참가자들은 실험 하루 전날 그들이 수감자들을 육체적으로 상처 입힐 수 없다고 이야기하기 위해서 모임을 가졌는데, 짐바르도는 교도관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수감자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독단적으로 행동할 수 없으며 그 말인즉슨 수감자들의 운명은 전적으로 우리와 시스템에 의해 조종되고 당신, 나, 그리고 수감자들은 어떠한 사생활도 없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없애며, 대개 이러한 모든 것을 야기시키는 것은 무력함입니다. 즉 이 상황에서 우리는 모든 통제권을 가지고 있고, 그들은 어떠한 힘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결과

실험은 눈 깜짝할 사이에 통제 범위를 벗어나 교도관들에게서 가학적인 행위와 굴욕스러운 대우를 받은 수감자들은 괴로워했으며, 그 행위들은 용인되었다. 스트레스가 급증해서 결국 억압으로 인한 반란을 초래했고, 실험이 끝날 때까지 심각한 감정적 혼란들이 많이 발생했다. 별 탈 없이 첫날이 지나고 둘째 날에 반란이 일어났는데, 교도관들은 원래보다 더 진지하게 자신의 역할에 몰두하였으며, 상관인 연구 직원들의 허락 없이 소화기로 수감자들을 공격해서 반란을 진압했다. 겨우 36시간이 지난 후에 짐바르도가 말하기로는 한 수감자가 '미친 짓'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소리를 지르고 격노하고 저주하는 등의 행위를 하기 시작했는데, 그가 매우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렸고, 연구원들은 그를 풀어줘야만 했다. 실험에서 빠진 그 수감자가 친구들을 데려와서 남은 수감자들을 내보낸다는 소문이 돌아서 교도관들은 감옥을 철거하고 수감자들을 안전한 장소로 옮겼다. 어떠한 시도도 일어나지 않았을 때 교도관들은 감옥을 새로 짓느라 헛수고했다는 것에 대한 화가 치솟았고 수감자들을 밖으로 내보냈다.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에게 기합을 주는 등 신체적 고통을 주기도 했으며, 급격히 위생 상태가 악화하였고 이에 따라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이 생리현상을 못 하도록 만들기도 했다. 교도관들은 수감자들이 그들의 변기통을 비울 수 없는 벌을 주기도 하는 한편 매트리스는 이런 감옥에서는 보물과도 같았는데, 교도관들은 매트리스를 뺏어서 콘크리트 위에서 재우는 등의 벌을 주기도 했다. 몇몇 수감자는 벌거벗은 채로 다니도록 강요받기도 했으며 성적 모욕을 받기도 했다.

짐바르도는 실험에 점점 몰두했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4일째에 몇몇 수감자들이 탈옥에 관해 얘기를 나누었다. 실험이 진행되면서 몇몇 교도관들은 더욱 폭력적으로 변했고, 실험자들은 교도관 중 3분의 1이 진짜로 잔학한 경향을 보여주었다고 했다. 실험이 예정보다 일찍 끝났을 때 교도관들 대부분은 화를 냈다. 짐바르도는 참가자들이 그들의 역할에 완전히 흡수되었다고 말하며 이것이 실험인데도 가석방을 위해서라면 벌금을 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였다고 했다. 새로 들어온 수감자는 다른 수감자들의 행태를 보고 걱정을 표했고, 교도관들은 이러한 반항에 응했다. 그가 단식 투쟁한다며 소시지 먹기를 거부했을 때 교도관들은 그를 독방에 가두었다. 짐바르도의 여자친구는 이 실험에 초대받았을 때 감옥의 엄청난 실상을 본 후 당장 이 실험을 그만두라고 짐바르도에게 얘기했으며 짐바르도는 실험을 끝냈다. 짐바르도는 이 감옥을 본 50명 이상의 사람 중 도덕에 대한 질문을 던진 것은 여자친구 1명이었다고 말했다. 2주 동안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그렇게 6일 만에 끝이 났다.

반응형

'심리학과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정신분석학  (0) 2023.06.20
심리학-스탠퍼드 감옥 실험(루시퍼 이펙트)2  (0) 2023.06.19
심리학-바넘 효과  (0) 2023.06.17
심리학-조작적 조건화  (2) 2023.06.09
심리검사2  (0) 2023.06.09